Justin-book

네트워크 장치 (Network Devices and Equipment)

2025-10-27

요약

  •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로 이동하고, 필요한 변환과 분배를 수행하는 핵심 구성요소다.
  • 모든 통신은 단말(Host)에서 출발하여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모뎀(Modem) 등을 거쳐 전달된다.
  • 장비별 역할을 이해하면 네트워크 구조 설계, 장애 원인 분석, IP 구성 문제 해결이 쉬워진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순한 연결 도구가 아니라 데이터가 “어디서 → 어디로 → 어떤 방식으로” 이동하는지를 결정하는 엔진이다. 각 장비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면, 장애 분석·보안 설정·성능 개선까지 모든 영역에서 원인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핵심 요약

  1. 허브(Hub)는 단순 분배, 스위치(Switch)는 MAC 기반 전달
  2. 라우터(Router)는 IP 기반 경로 선택
  3. 게이트웨이(Gateway)는 다른 네트워크 간 변환
  4. 모뎀(Modem)은 신호 변조·복조
  5. AP(Access Point)는 무선 네트워크 확장

1. 네트워크 장치 개요

네트워크 장비는 데이터가 이동하는 “교통 시스템”의 신호등·분기점과 같다.
기본적으로 다음 세 계층으로 나눌 수 있다.

구분역할예시 장비
단말 장치 (Host Devices)데이터를 송수신PC, 서버, 스마트폰
전송 장치 (Switching Devices)데이터 프레임 전송 및 분배스위치, 허브
경로 제어 장치 (Routing Devices)네트워크 간 경로 결정라우터, 게이트웨이, 모뎀
flowchart LR H["Host
(PC, Server)"] --> S["Switch"] S --> R["Router"] R --> I["Internet"] I --> W["Web Server"] style H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S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R fill:#dcfce7,stroke:#16a34a style W fill:#f3e8ff,stroke:#9333ea

2. 주요 장비별 역할 정리

장비계층주요 기능비고
허브 (Hub)데이터링크(2계층)단순한 신호 복제 및 브로드캐스트저가형, 충돌 도메인 큼
스위치 (Switch)데이터링크(2계층)MAC 주소 기반 프레임 전달VLAN 지원
라우터 (Router)네트워크(3계층)IP 기반 경로 선택 및 라우팅 테이블 관리LAN↔WAN 연결 핵심
게이트웨이 (Gateway)전송~응용 계층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 변환LAN↔외부망 변환
모뎀 (Modem)물리 계층신호 변조(Modulation)/복조(Demodulation)ISP 연결용
AP (Access Point)데이터링크무선 단말 접속 중계Wi-Fi 확장
방화벽 (Firewall)전송~네트워크 계층접근 제어, 트래픽 필터링보안 핵심 장비

3. 데이터 흐름: 단말 → 공유기 → 라우터 → 인터넷

sequenceDiagram participant PC as 단말(Host) participant SW as 스위치(Switch) participant RT as 라우터(Router) participant ISP as 통신사망(ISP) participant WEB as 서버(Server) PC->>SW: Ethernet Frame (MAC 기반) SW->>RT: Frame 전달 및 VLAN 구분 RT->>ISP: IP 패킷 전송 (Routing) ISP->>WEB: 인터넷 경로 라우팅 WEB-->>ISP: 응답 패킷 반환 ISP-->>RT: NAT 역변환 RT-->>PC: 데이터 수신 완료 Note over PC,WEB: OSI 계층 1~3 기반 실제 데이터 전송 흐름

4. ipTIME 공유기를 기준으로 본 가정용 네트워크 구조

기능수행 장치설명
IP 자동할당(DHCP)ipTIME내부 사설 IP 부여 (192.168.x.x)
NAT 변환ipTIME내부 IP ↔ 공인 IP 변환
무선 연결 (Wi-Fi)AP 내장2.4GHz / 5GHz 듀얼밴드
WAN 연결모뎀ISP로 신호 전달
인터넷 통신라우터외부 경로 제어 및 전달
flowchart TB subgraph LAN["LAN (가정 내부망)"] A["PC / 스마트폰
192.168.0.10~50"] B["ipTIME 공유기
(Switch + Router + AP)"] end subgraph WAN["WAN (통신사망)"] C["모뎀
(광케이블/DSL)"] D["ISP Router
(공인 IP 121.x.x.x)"] end subgraph INTERNET["Public Internet"] E["Cloud / Web Server"] end A --> B --> C --> D --> E style LAN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WAN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INTERNET fill:#dcfce7,stroke:#16a34a

5. 실무 환경에서의 장비 계층 구조

flowchart TD subgraph ACCESS["Access Layer (단말 연결)"] A1["PC / IoT / Mobile"] A2["AP (Wi-Fi Access Point)"] end subgraph DISTRIBUTION["Distribution Layer (분배 계층)"] S1["L2/L3 Switch"] end subgraph CORE["Core Layer (백본 계층)"] R1["Router / Gateway"] FW["Firewall"] end subgraph EDGE["Edge / Internet"] ISP["ISP Router"] WEB["Web / Cloud Server"] end A1 --> S1 A2 --> S1 S1 --> R1 R1 --> FW --> ISP --> WEB style ACCESS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DISTRIBUTION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CORE fill:#dcfce7,stroke:#16a34a style EDGE fill:#f3e8ff,stroke:#9333ea

요약:

  • Access Layer: 사용자 단말이 최초로 연결되는 구간 (AP, Switch)
  • Distribution Layer: 트래픽 집계, VLAN 관리
  • Core Layer: 주요 라우팅과 방화벽을 통한 정책 제어
  • Edge Layer: 외부 인터넷 또는 클라우드와 연결되는 구간

6. 장비 간 차이 핵심 비교

구분전달 단위기준 정보연결 범위대표 장비
스위치프레임(Frame)MAC 주소동일 네트워크(LAN)L2/L3 Switch
라우터패킷(Packet)IP 주소다른 네트워크(WAN)Router
게이트웨이세션/응용 데이터프로토콜異체계 간 연결Gateway
허브신호(Signal)없음 (모두 전송)단순 분배Hub
모뎀전기/광 신호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통신사 회선 연결Modem

7. 장비 구성 흐름 요약

flowchart LR HOST["Host
(PC, Mobile)"] SW["Switch
(MAC 기반 통신)"] RT["Router
(IP 기반 경로 결정)"] GW["Gateway
(LAN↔WAN 변환)"] ISP["ISP Router
(Backbone)"] WEB["Web Server"] HOST --> SW --> RT --> GW --> ISP --> WEB style HOST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SW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RT fill:#dcfce7,stroke:#16a34a style GW fill:#ede9fe,stroke:#7c3aed style ISP fill:#fee2e2,stroke:#ef4444 style WEB fill:#f3e8ff,stroke:#9333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