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네트워크 설계 예시
2025-10-27
요약
- 실제 환경에서는 네트워크를 Access / Distribution / Core 구조로 설계한다.
- 보안, 확장성, 장애 대응을 고려한 계층형 구조가 권장된다.
좋은 네트워크 설계는 “문제가 생겨도 전체가 멈추지 않는 구조”를 만든다. 즉, 안정성·유연성·보안성의 세 가지 균형이 핵심이다.
| 번호 | 주제 | 핵심 키워드 |
|---|---|---|
| 3 | IP 주소와 서브넷 구조 | CIDR, 서브넷, 공인/사설 |
| 7 | 물리적 구성 요소 | 케이블, NIC, 신호 |
| 8 | NAT 구조 | 사설망, IP 변환 |
| 9 | 가상 네트워크 | Bridge, NAT, Overlay |
| 10 | 트 |
1. 사무실 네트워크 예시
flowchart TD
A["Access Layer
Switch + AP (직원/IoT)"] B["Distribution Layer
L3 Switch (VLAN 분리)"] C["Core Layer
Router + Firewall"] D["ISP Router / Cloud / Internet"] A --> B --> C --> D style A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B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C fill:#dcfce7,stroke:#16a34a style D fill:#f3e8ff,stroke:#9333ea
Switch + AP (직원/IoT)"] B["Distribution Layer
L3 Switch (VLAN 분리)"] C["Core Layer
Router + Firewall"] D["ISP Router / Cloud / Internet"] A --> B --> C --> D style A fill:#e0f2fe,stroke:#0284c7 style B fill:#fef9c3,stroke:#facc15 style C fill:#dcfce7,stroke:#16a34a style D fill:#f3e8ff,stroke:#9333ea
2.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예시
graph LR
CLIENT["Client
Public Internet"] --> FW["Edge Firewall"] FW --> LB["Load Balancer"] LB --> SW["Core Switch"] SW --> SRV["App / DB Server Cluster"] SRV --> STORAGE["NAS / SAN Storage"]
Public Internet"] --> FW["Edge Firewall"] FW --> LB["Load Balancer"] LB --> SW["Core Switch"] SW --> SRV["App / DB Server Cluster"] SRV --> STORAGE["NAS / SAN Storage"]
3. 설계 체크리스트
- IP 대역 및 서브넷 분리 (/24, /26 등)
- VLAN 기반 부서별 격리
- NAT 및 DMZ 설정
- L2/L3 스위치 계층 구성
- 방화벽 및 IDS 배치
- 백업망 (Failover Link)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