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n-book

협업 개요 (Collaboration Overview)

2025-10-27

요약

  • 본 문서는 Frontend / Backend / System Engineer / Planner 등 모든 포지션이
    하나의 통합된 협업 체계 아래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일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 기술적 규칙, 프로세스, 커뮤니케이션, 품질관리, 보안정책까지 End-to-End 협업 표준서 역할을 한다.
  • 목표: “하나의 팀, 하나의 언어, 하나의 프로세스
항목내용
목적역할 간 협업 표준화 및 투명성 확보
철학Trust & Documentation First
구조FE/BE/SE/Planner 공통체계
목표지속 가능한 협업문화 구축

1. 협업 문서 목적

목적설명
표준화모든 역할(FE/BE/SE/Planner)이 같은 절차와 형식을 따름
투명성의사결정, 변경, 승인 절차를 문서로 기록
품질 확보테스트·보안·릴리즈 기준 통일
지속 가능성조직 내 신규 인원이 빠르게 적응 가능

결과보다 과정(Process)을 설계한다.
협업 품질은 시스템이 아니라 문화로부터 만들어진다.


2. 협업 구조 개요

flowchart LR A[Planner
요구사항/기획] --> B[Backend
API/DB/보안] A --> C[Frontend
UI/UX/상태관리] B --> D[System Engineer
배포/모니터링] C --> D D --> E[공통 운영 환경
CI/CD + Observability] E --> F[회고·개선 루프] F --> A

핵심 흐름

  1. Planner → FE/BE : 요구사항(PRD) 전달 및 명세 공유
  2. FE/BE : Mock 기반 병렬 개발 및 API 계약 문서화
  3. SE : CI/CD 자동화 및 배포 환경 제공
  4. QA/PO : 테스트 및 품질 승인
  5. All : 회고 및 개선 → 다시 PRD 반영

3. 협업 문서 전체 구성

구분설명주요 문서
01-common-rules전 포지션 공통 규칙 (SLA, RFC, 보안 등)working-agreements, roles-and-raci, testing-and-quality
02-frontend-collaborationFE 개발 협업 (PR, API, UI 테스트)fe-branch-and-pr, fe-api-integration
03-backend-collaborationBE 개발 협업 (CI/CD, DB, 보안, 성능)be-api-contract-and-versioning, be-hpa
04-system-engineer-collaborationSE 운영 협업 (환경, 모니터링, 장애대응)se-ci-cd-pipeline, se-incident-and-oncall

각 문서는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으면서도, 상위 구조에서는 일관된 협업 체계를 공유한다.


4. 협업 철학 (Team Principles)

원칙설명
Transparency모든 결정은 공개된 기록으로 남긴다.
Ownership문제를 발견한 사람이 해결의 시작점이 된다.
Iteration완벽보다 빠른 개선을 우선한다.
Respect각 역할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의사결정을 신뢰한다.
Documentation First말보다 기록, 회의보다 명세가 우선이다.

“협업은 동의(consent)보다 신뢰(trust) 위에서 동작한다.”


5. 협업 성숙도 모델 (Maturity Model)

단계정의특징
Level 1비공식 협업문서 없음, 구두 중심
Level 2정의됨프로세스 문서화 시작
Level 3관리됨지표(SLA, Velocity) 기반 운영
Level 4예측됨자동화 + 피드백 루프 정착
Level 5최적화됨데이터 기반 개선, 혁신 주도

6. 문서 활용 가이드

  • 모든 문서는 GitBook / Notion / Confluence 호환 형식(Markdown)

  • 버전 관리는 Git을 통해 수행 (v1.0.0, v1.1.0 등)

  • 신규 항목 추가 시:

    1. issue 생성 →
    2. RFC 제출 →
    3. 승인 후 병합(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