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n-book

포지션별 협업 책임 요약 (Collaboration by Role)

2025-10-27

요약

  • 각 포지션(FE, BE, SE, Planner)이 협업 과정에서 어떤 단계에 언제 참여하는가를 명확히 정의
  • 프로젝트 초기 기획 → 배포 → 회고까지 End-to-End 역할 책임 체계 정립
  • 불필요한 중복/누락을 제거하고 프로세스 자동화 기반 협업 모델 수립
포지션핵심 역할협업 초점
Planner방향성과 요구사항품질 중심 기획
FE사용자 경험 구현Mock 기반 병렬 개발
BE비즈니스 로직 / API성능 및 확장성
SE안정적 배포 / 운영자동화, 모니터링, 보안

1. 전체 협업 타임라인

gantt title 프로젝트 협업 타임라인 dateFormat YYYY-MM-DD section 기획 요구사항 수립 :done, a1, 2025-10-01, 3d UI 설계 및 Mock :active, a2, after a1, 4d section 개발 BE API 설계 : a3, after a2, 3d FE 화면 개발 : a4, after a3, 5d SE 배포 구성 : a5, after a3, 3d section 테스트 QA / 통합 테스트 : a6, after a4, 3d section 운영 배포 / 회고 : a7, after a6, 2d

2. 포지션별 협업 책임

단계PlannerFrontendBackendSystem Engineer
요구사항 정의주도 (PRD 작성)참여 (UI 피드백)참여 (API 영향 분석)참조
설계승인 (Flow)Mock 구조 정의API 스펙 설계CI/CD 구조 기획
개발피드백화면·상태관리 구현비즈니스 로직 / DB 연동인프라 배포 / 시크릿 구성
테스트승인UI 테스트통합 테스트모니터링·로그 검증
릴리즈승인 / 공지빌드 검증DB 마이그레이션 검증ArgoCD / Jenkins 실행
회고KPI 점검UI 개선 제안API 성능 개선배포 효율성 분석

3. 협업 시 주의사항

  • 중복 대응 금지: 한 항목의 담당자가 명확해야 함 (e.g., 성능 테스트는 BE, 인프라 부하는 SE)
  • 의존성 조율: FE와 BE는 API Contract 확정 전 독립 Mock 환경 필수
  • 커뮤니케이션 라인: Planner → BE → FE 순으로 단일 경로 유지
  • 문서화: 모든 변경 사항은 Git 기반 Issue로 기록

4. 협업 효율성 지표 (Metrics)

항목정의목표
평균 PR 대기 시간PR 생성 ~ 승인까지 시간< 8시간
배포 오류율배포 중 실패 횟수0%
SLA 준수율SLA 항목 중 충족 비율≥ 95%
회고 개선 실행율회고 후 개선안 이행 비율≥ 80%